'주시상목행'이란
'주시상목행'은 법률 문장을 체계적으로 구성하는 방법론 중 하나로, 논리적이고 명확한 법률 문장을 작성하는 데 유용한 원칙입니다. 각 요소는 다음과 같이 해석됩니다.
한국어는 본래 Scrambled 언어로 단어의 어순이 뒤바뀌어도 의미를 전달하는 데 무리가 없지만, 법률 문장을 작성할 때는 주시상목행의 어순을 지켜줘야 의미 전달이 명확하게 됩니다.
- 주(주어): 문장의 주어를 명확히 설정합니다.
- 시(시간): 일시를 적습니다.
- 상(상대방): 간접목적어를 적습니다.
- 목(목적어): 직접목적어를 적습니다.
- 행(행위): 행위 내용을 적습니다.
주시상목행 예시
- 원고는(주어) 2025. 1. 20. (시간) 피고에게(상대방) 대여금을(목적어) 모두 납부하였다(행위).
- 원고는(주어) 2025. 1. 25. (시간) 피고와(상대방), 원고가 피고로부터 빵을 공급받기로 하는 내용의 물품공급계약을(목적어) 체결하였다(행위).
'LAW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허위사실공표죄 개정안 (0) | 2025.05.09 |
---|---|
2024헌나8 선고요지 (윤석열 탄핵 선고) (0) | 2025.04.04 |
윤석열 구속취소에 대한 재판부 설명자료 (0) | 2025.03.15 |
[민법사례형답안] 2012년도 시행 제1회 변호사시험 민사법 제1문 1번 (0) | 2025.03.13 |